주식용어

주식용어 : VI 발동 의미 알아보기

TurningPoint 2023. 10. 3. 12:08
반응형

 

 

주식용어 : VI 발동

1. VI 발동 뜻

2. VI 발동의 유형

3. VI 발동 시에도 거래는 가능하다.

 

 

 

 

VI 발동 (Volatility Interruption)

 변동성 완화장치

 개별종목에 대한 체결 가격이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동하는 것으로, 개별종목 주가의 급격한 변동을 막는 안전화 장치입니다. 

 

주가가 급등 또는 급락할 경우 시장 안정화를 위해 일정시간 거래를 정지시키고 호가 거래를 하게 함으로써, 투자자들은 이성을 찾고 충동적인 매매를 자제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게 됩니다.

VI가 발동되면 일반매매가 정지된 후 2~10분간 단일가 매매 및 임의연장 30초 냉각기간을 진행합니다. 여기서 단일가 매매란 투자자 주문을 일정시간 동안 모아 일시에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투기성 추종매매를 억제하고 미확인정보에 의한 비정상적인 과열 현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단일가매매
투자자 주문을 일정 시간동안 모아 일시에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하는 방식.
투기성 주총 매매를 억제하고 미확인 정보에 의한 비정상적 과열 현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매매 방법.
단일가매매 진행은 시간외단일가, 상승 VI·하락 VI 발동, 장전동시호가, 장마감전 동시호가 시간에 단일가매매가 진행된다.
※ VI, 사이드카, 서킷 브레이커의 차이
· VI (Volatility Interruption)
 : 특정 종목에 대한 가격 안정화 장치
· 사이드카(Side Car) : 시장 상황이 급변할 경우 프로그램 매매의 호가 효력을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프로그램 매매가 주식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는 제도
·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 : 주가가 일정 수준 이상 급락하는 경우 시장에서의 모든 매매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제도

 

 

 

 

VI 발동 유형

▶ VI는 동적 변동성 완화장치(동적 VI), 정적 변동성 완화장치(정적 VI) 등 2개의 유형으로 나뉩니다.

 동적VI와 정적 VI 모두 실시간 거래로 진행되는 급격한 주가 변동을 막고자 하는 것으로, 변동성을 완화하여 시장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완충장치 역할을 하게 됩니다.

● 동적 VI

· 직전 체결가격 기준으로 코스피는 2~3%, 코스닥은 4~6% 이상을 벗어나는 경우 발동되며 2분간 단일가매매로 전환.

· 특정 호가에 의한 단기간 가격 급변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 2014년 9월 1일 도입

 

 정적 VI

· 전일 종가기준 10% 이상 주가 변동 시 2분간 단일가매매로 전환.

· 누적적이고 장기적인 가격 변동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 2015년 6월 15일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의 가격제한폭이 ±15%에서 ±30%로 확대되면서 도입.

 

 

 

 

VI 발동 시에도 거래는 가능하다.

갑자기 주가가 급등, 급락하여 VI가 발동된 경우, 주식 호가창은 일정시간 거래정지 상태가 됩니다. 

만약 주가가 계속 오를 것으로 판단하여 꼭 사야 한다면, 단일가 거래로 매매가 가능합니다. VI발동 시 주식은 단일가거래, 동시호가로 전환되어 VI가 풀렸을 때 동시호가로 모인 가격으로 결정됩니다. 

 

동시호가란?

 

국내주식 거래시간과 시간대 별 거래방식

국내주식 거래시간과 시간대 별 거래방식 주식시장에 첫 발을 디딘 분이라면 대게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거래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반 까지라고 알고 있을 겁니다. 저도 단순히 그런 줄

gwonhee7.tistory.com

 

 

 

 

요약

● VI 발동은 개별종목 주가의 급격한 변동을 막는 안전화 장치이다. 

● 동적 VI와 정적 VI 두 가지로 나뉜다.

● VI 발동 시 단일가 거래로 매매로 전환된다. 

 

 

 

 

마치며

VI 발동이 되면 이전보다 변동성이 커졌다는 뜻이므로, 투자에 신중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지금까지 VI 발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