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등락폭은 가격제한폭 제도에 의해 전일 종가 대비 ±30% 한계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를 이용한 매매 방법이 상따와 하따인데요.
오늘은 상따와 하따의 의미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상따, 하따
1. 상따
2. 하따
3. 상따, 하따 예시
상따
'상한가 따라잡기'의 줄임말
특정 종목의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하면 더 오를 것을 기대하며 이유 없이 매수하러 뛰어드는 것.
상따를 하는 이유는 오늘 매수한 종목의 종가가 상한가로 마무리된다면 다음날 추가 상승의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하따
'하한가 따라잡기'의 줄임말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한가를 기록하면 일시적인 낙폭과대로 판단, 주가의 회복을 기대하며 매수하는 것.
상폐빔(상장폐지 전 주가 상승)의 마인드와도 비슷합니다.
종가가 하한가로 마무리될 경우 추가 하락의 여지가 있기 때문에 하따로 매수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상따, 하따 예시
상따와 하따의 예를 보여드릴게요.

최근 초전도체 관련주로 급등이 나온 파워로직스입니다.
하나의 차트에서 상따와 하따의 예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구간은 상따 구간으로 1번 양봉에서 종가가 상한가로 마무리됩니다.
이때 파워로직스는 초전도체라는 핫한 테마를 등에 업고 종가가 상한가로 마무리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다음날 추가 상승을 기대하며 매수하게 됩니다.
다음날 엄청난 갭상승을 시작으로 종가가 다시 2번 상한가로 마무리하게 되죠. 상따를 성공한 예입니다. 물론 매도했다는 전제하에 할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2번 양봉에서 종가가 상한가로 마무리했기 때문에 다시 한번 상따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만약 2번에서도 상따를 노렸다면 그다음 날 또 갭상승으로 시작해 상한가로 마무리한 3번 구간까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간이 하따 구간으로 1번 음봉에서 종가가 하한가로 마무리됩니다.
종가가 하한가로 마무리된 경우 낙폭과대로 판단하여 매수하지만, 다음날 추가 하락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설명 해드렸습니다.
1번 음봉에서 하따로 매수하게 되면 2번의 추가 하락으로 큰 손실을 보게 됩니다.
만약 2번 종가에서 하따로 매수했다면 다음날 양봉만큼 수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하따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치며...
상따와 하따로 매수한다고 해서 전부 수익이 나는 것은 아닙니다.
해당 기업의 주가가 상한가/하한가가 나온 이유에 대해 이해하고 다음날 추가 상승/하락을 분석 후 매매해야 실패할 확률이 낮습니다.
짧은 시간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매혹적으로 다가오지만, 그만큼 리스크가 큰 매매 기법이므로 신중을 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상따, 하따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용어 : 상한가 하한가 가격제한폭 제도 의미 알아보기
큰 호재가 생기는 주식은 당일 시초가 기준으로 +30% 이내에서 큰 상승이, 나쁜 소식이 생기는 주식은 당일 시초가 기준 -30% 이내에서 큰 하락이 나오기도 합니다. 이러한 현상들과 관련된 주식
gwonhee7.tistory.com
'주식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 : 급등주 대장주 테마주 뜻 알아보기 (0) | 2023.11.12 |
---|---|
주식용어 : 의무보유확약 뜻 기간 비율 의미 알아보기 (1) | 2023.11.01 |
미국 증시 프리마켓, 애프터마켓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3.10.22 |
주식용어 : 공매도 의미 알아보기 (1) | 2023.10.17 |
주식용어 : 감자 자본잠식 유상감자 무상감자 의미 알아보기 (0) | 202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