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등락폭은 가격제한폭 제도에 의해 전일 종가 대비 ±30% 한계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를 이용한 매매 방법이 상따와 하따인데요. 오늘은 상따와 하따의 의미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상따, 하따 1. 상따 2. 하따 3. 상따, 하따 예시 상따 '상한가 따라잡기'의 줄임말 특정 종목의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하면 더 오를 것을 기대하며 이유 없이 매수하러 뛰어드는 것. 상따를 하는 이유는 오늘 매수한 종목의 종가가 상한가로 마무리된다면 다음날 추가 상승의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하따 '하한가 따라잡기'의 줄임말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한가를 기록하면 일시적인 낙폭과대로 판단, 주가의 회복을 기대하며 매수하는 것. 상폐빔(상장폐지 전 주가 상승)의 마인드와도 비슷합니다. 종가가 하한가로 마무리될 경우 추가..